SUBJECT
외교
현안진단
(7건)
-
현안진단 362호
김정은의 중국 전승절 참석 - 중국의 의도와 한·중관계
중국의 의도와 한·중관계
2025-09-11
1,205 -
현안진단 360호
알래스카 미·러 정상회담과 강대국 정치의 부활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국제정세의 가장 큰 특징은 강대국 정치의 부활과 자강의 시대가 도래했다는 점이다. 국제 질서 변화의 신호탄이 된 우크라이나 전쟁을 둘러싸고 미국과 러시아 그리고 우크라이나와 유럽연합 간 펼쳐지는 국제정세는 강대국 정치의 부활과 자강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2025-08-24
1,507 -
현안진단 359호
북한 ‘조한관계론’ 유감, 긴 호흡으로 한반도 평화를 모색할 때
북한의 한반도 적대적 2국가론을 수용하면 평화통일을 규정한 헌법과 민족공동체통일방안에 정면으로 위배되며, 북한에 대한 우리의 모든 권리와 의무도 자동으로 소멸된다. 유사시 북한 문제에 대해 우리가 직접·자동 개입할 수 없고, 탈북민의 경우도 일반 난민의 지위를 지니게 될 뿐이다.
2025-08-11
1,905
전문가 포럼
(6건)
-
121차 전문가포럼
관세협상 이후, ‘한미동맹 현대화’의 명암
.
2025-09-01
1,269 -
119차 전문가포럼
우크라이나, 유럽, 트럼프
.
2025-04-30
2,462 -
118차 전문가포럼 온라인 생중계
흔들리는 중동의 축, 시리아와 이란
흔들리는 중동의 축, 시리아와 이란
2025-04-17
2,962
심포지엄
(2건)
-
NEW
평화재단 창립 21주년 심포지엄
전쟁의 뉴노멀, 북중러 연대! 아시아판 나토?
전쟁이 뉴노말이 되는 전환기, 국제정세의 이러한 변화는 한반도 평화 안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평화재단은 한반도를 둘러싼 정세 변화의 전략적 함의를 논의하고 우리의 적절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공론의 장을 마련했습니다. 특히 북중러 연대와 역키신저 전략, 아시아판 나토의 실현 여부를 진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한국의 외교안보전략을 어떻게 세울 것인가는 이재명 정부의 핵심 과제가 될 것입니다.
2025-10-12
266 -
2025년 평화재단 정기심포지엄
이재명 정부의 지속가능한 국가발전과 외교안보 전략
평화재단은 신정부가 견지해야 할 대외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집단지성의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함께 참여하셔서 현 정세를 이해하고 창의적인 대안을 모색하는 좋은 계기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2025-06-04
2,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