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The peace Foundation 평화재단

AGENDA

아젠다

SUBJECT

전체

국제화해학회 제6회 국제학술회의 2025 서울대회 NEW

화해와 평화를 위한 아시아 종교 간 대화

“Bridging a Division”을 대주제로 열리는 국제 학술대회

최초로 한국에서 개최되는 이번 제6회 국제화해학회는 특히 한국 사회가 겪어온 식민지 지배, 전쟁, 분단의 역사적 경험을 중심에 두고, 기억·책임·화해를 둘러싼 논의를 통해 한국과 일본의 관계를 출발점 삼아 동아시아가 직면한 위기와 갈등 속에서 화해와 공존의 새로운 대화 지평을 넓히고자 합니다. [출처] [7/14~7/18] 제6회 국제화해학회 2025 서

자세히 보기

현안진단 357호 NEW

트럼프 2기 행정부와 북·미 관계 전망

트럼프 2기 행정부와 북·미 관계 전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북한 김정은 위원장에 대한 ‘러브콜’이 지속되고 있다. 지난 6월 27일(현지 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에게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과 좋은 관계를 유지해 왔으며, 양국 간 갈등을 김정은 위원장과 함께 해결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자세히 보기

현안진단 356호 NEW

제35차 헤이그 나토 정상회담의 주요 내용과 전략적 함의

제35차 헤이그 나토 정상회담의 주요 내용과 전략적 함의

헤이그 나토 정상회담이 이제 막 출범한 이재명 정부의 ‘국익 중심 실용 외교’에 던져주는 시사점이 적지 않다. 먼저, 트럼프 행정부는 우리에게 방위비 증액을 요구할 것이다. 아마도 이것은 정해진 절차로 보인다. 따라서 이에 대한 철저한 준비와 전략적 사고에 따른 대응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자세히 보기

120차 전문가포럼 NEW

안보의 새 지평을 열다, 생태안보

안보의 새 지평을 열다, 생태안보

기후위기, 생물다양성 붕괴, 식량난, 물부족, 기후난민의 시대, 전통안보를 넘어서 지구 생태계의 파괴 자체가 인류 생존의 근본 위협이라는 관점에서 등장한 21세기형 안보 개념인 '생태안보'에 대해 살펴본다.

자세히 보기

현안진단 355호

글로벌 복합 위기의 시대, 이재명 정부의 대외 전략 방향

글로벌 복합 위기의 시대, 이재명 정부의 대외 전략 방향

대한민국의 외교·안보는 한반도와 북한 문제를 넘어 ‘한국형 세계 전략’의 길을 가야 한다. 지속 가능한 평화와 번영, 그리고 국가 발전을 위해 세계와 어떻게 연결하고 나아갈 지의 과제가 새 정부 앞에 놓여 있다. 이에 <현안진단>이 새 정부가 가야 할 대외 전략의 방향성을 살펴보았다.

자세히 보기

2025년 평화재단 정기심포지엄

이재명 정부의 지속가능한 국가발전과 외교안보 전략

이재명 정부의 지속가능한 국가발전과 외교안보 전략

평화재단은 신정부가 견지해야 할 대외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집단지성의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함께 참여하셔서 현 정세를 이해하고 창의적인 대안을 모색하는 좋은 계기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자세히 보기

119차 전문가포럼

우크라이나, 유럽, 트럼프

우크라이나, 유럽, 트럼프

.

자세히 보기

118차 전문가포럼 온라인 생중계

흔들리는 중동의 축, 시리아와 이란

118차 전문가포럼

흔들리는 중동의 축, 시리아와 이란

자세히 보기

현안진단 349호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초기 정책적 동향 및 함의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초기 정책적 동향 및 함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3월 4일 두 번째 임기 첫 연방의회 합동 연설을 했다. 이번 연설은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 초기 추진하고 있는 주요 정책 의제 및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 세계가 주목하였다.

자세히 보기

현안진단 347호

화성인(미국)과 금성인(유럽), 안보 분업의 갈등과 교훈

화성인(미국)과 금성인(유럽), 안보 분업의 갈등과 교훈

트럼프 행정부의 동맹 정책이 철저하게 자국 우선주의와 거래적 동맹관에 따라 추진되고 있는 부정할 수 없는 현실에 직면해 우리는 안보적 자율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방향에서 미래지향적 한미동맹 비전을 새롭게 마련할 준비를 보다 철저히 해나가야 할 것이다.

자세히 보기
/

현안진단

(12건)

평화 2.0포럼

(3건)

정기 워크숍

(4건)

연구 완료프로젝트

(8건)